-백년이 잠깐인데 어찌 배우지 않으리오-
모든 부처님이 열반의 세계에 계시는 것은
오랜 세월에 걸쳐 욕심을 버리고 고행하신 결과요,
모든 중생이 불타는 집 속을 윤회하는 것은
한없는 세상에 걸쳐 탐욕을 버리지 못한 탓이다.
아무도 막지 않는 천당이지만
그곳에 가는 사람이 적은 것은
삼독(三毒 : 탐욕·성냄·어리석음)의 번뇌를
자기의 재물로 삼았기 때문이며,
아무도 유혹하지 않는 악도에 많은 사람이 들어가는 것은
네 마리의 독사(地·水·火·風으로 이루어진 육신)와
다섯 가지의 욕망(재물·색욕·음식·명예·수면의 욕망)을
그릇되게 마음의 보배로 삼기 때문이다.
누군들 산에 가서 도를 닦고 싶은 생각이 없으랴마는
선뜻 떠나지 못하는 것은 애욕에 얽매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산 속에 들어가 마음을 닦지는 못한다 하더라도
자신의 능력에 따라 선행(善行)을 하도록 하라.
세상의 쾌락을 버리면 성현처럼 공경받을 것이요,
어려운 수행을 실천해 간다면
부처님과 같이 존중받을 것이다.
재물만을 아끼고 탐하는 것은 악마의 권속이요,
자비로운 마음으로 보시하는 것은
바로 부처님의 제자다.
높은 산 험한 바위는 지혜로운 사람이 살 곳이요,
푸른 소나무가 울창한 깊은 계곡은 수행자가 살아갈 곳이다.
주리면 나무 열매로 주린 창자를 달래고,
목마르면 흐르는 물을 마셔 갈증을 풀어라.
맛있는 음식을 먹으며 몸을 살찌우더라도
이 몸은 반드시 죽을 것이고,
비단으로 감싸고 보호해도 목숨은 반드시 끊어지고 만다.
메아리 울리는 바위굴로 염불당을 삼고,
슬피 우는 새소리로 마음의 벗을 삼아라.
예배하는 무릎이 얼음같이 시려워도 따뜻한 불길을 생각하지 말고,
주린 창자가 끊어질 듯해도 먹을 것을 구하는 생각이 없어야 한다.
백년이 잠깐인데 어찌 배우지 아니하며,
한평생이 얼마길래 닦지 않고 놀기만 하겠느냐?
마음에 모든 애욕이 떠난 이를 사문(沙門)이라 하고,
세상일을 그리워하지 않는 것을 출가(出家)라 한다.
그러므로 수행하는 이가 비단옷을 입는 것은
개가 코끼리 가죽을 쓴 꼴이고,
도를 닦는 사람이 애정을 품는 것은
고슴도치가 쥐구멍에 들어가는 것과 같다.
비록 재주와 지혜가 있다 하더라도
마을에 사는 사람은 부처님이 그를 가엾게 여기시고,
설사 도행(道行)이 없다 하더라도 산방(山房)에 사는 사람은
모든 성현이 그를 기쁘게 여기신다.
비록 재주와 학문이 있다 하더라도 계행(戒行)이 없으면
마치 보배가 있는 곳으로 인도하여도 가지 않는 것과 같고,
비록 부지런히 수행하여도 지혜가 없는 이는
동쪽으로 가려 하면서 서쪽으로 가는 것과 같다.
지혜로운 사람이 하는 일은 쌀로 밥을 짓는 것이고,
지혜가 없는 사람이 하는 일은 모래로
밥을 지으려는 것과 같다.
모든 사람은 밥을 먹어서 주린 창자를 달랠 줄은 알면서도
불법을 배워서 어리석은 마음을 고칠 줄 모르는구나.
그러므로 행동과 지혜가 갖추어지면
마치 수레의 두 바퀴와 같고,
자신도 이롭고 남도 이롭게 하는 것이 마치
새의 두 날개와 같다.
*(두손모아 명상하시길...)
원효스님
'♠글·단체·음식·건강 > 좋은글·시·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읽어주는 동화 모음 (0) | 2009.01.19 |
---|---|
[스크랩] ♣1초동안 할 수 있는 짧은 말♣ (0) | 2009.01.19 |
[스크랩] ♡ 그런 사람♡ (0) | 2008.12.19 |
[스크랩] 그대 12월에 오시려거든 (0) | 2008.12.07 |
[스크랩] 박태성 누드그림 | 누드명화 (0) | 2008.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