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2011.6.4
무등산(無等山):
전라남도 광주광역시와 화순군과 담양군에 걸쳐 있는 높이 1,187m의 산이다. 주봉우리는 천왕봉이며 1972년에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이름:
광주의 옛 이름인 무진주에 있는 산이라 하여 무진악 또는 무악이라 불렀고, 대개 큰 산이 그렇듯 무속과 연관하여 무덤산, 무당산이라고도 했다. 무등산은 대체로 바위가 아니라 흙으로 이루어진 산이지만, 정상 부근 천왕봉 인왕봉 지왕봉.서석대, 입석대, 규봉의 바위가 웅장하며 아름답다. 그래서 고려 시대에는 서석산이라고 불렀다. 불교 전래 후 부처가 세상 모든 중생과 견줄 수 없이 우뚝하다는 존칭으로 옛 이름과도 유사한 무등산(無等山)이라 부르게 되었다. 다만, 이는 같은 우리말 이름에 대한 한자표기를 바꾸어 해석을 달리했을 뿐으로, 원지명은 광주의 고유지명인 무들 또는 무돌에서 비롯한다. 무진(武珍)에서 珍은 오늘날에는 한자음으로 진으로 읽으나, 과거에는 새김으로 읽어 들,돌로 발음하였고, 무등(無等)또한 비슷한 음차표기이다. 이두표기로 水入伊란 지명도 있어서 방증된다.*2011.5.15 46년만에 단 몇시간 천왕봉이 개방되였다고 한다.그리고 그날은 광주시민 2만여명이 이곳을 찻아다고 한다.
등산코스:
1.증심사주차장 - 증심사앞삼거리 - 새인봉안부(삼거리) - 중머리재 - 장불재 - 입석대 - 서석대(3시간)
2.증심사주차장 - 꼬막재 - 규봉암 - 장불재(2시간30분)
3.이 외에 증심사 방향에서는 새인봉, 토끼봉, 바람재 등 여러 코스가 다양하게 많음.
아!
꿈에도 가고싶었던 호남의뚝심 무등산
뭘 그리도 바빠~
인제사 찻아는교...
(이미지)
광주로 가는 길목에서 촬~캇! (탄천휴개소)
정상으로 가는길..
울창한 편백나무들
전설이있는 꼬막제 앞에서 촬~캇!
억새풀로 유명한 평전
장불재로 가는길목에서..
최고의 절경으로 유명한 규봉암
사람이 세워놓인듯한 길다란 조각돌이 줄비하다.
절 앞옆뒤로 사람이 세워놓인듯한 길다란 기암괴석 조각돌이 줄비하다.
기암괴석들
절위에 기암괴석들이 줄비하게 서있다.
규봉암 기암괴석 바위들
하나 둘 셋 촬~캇!
바위 위에서 자란 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