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황당·게임/황당세상에·쇼킹

[스크랩] 핵실험동영상_지하에서 핵실험 하는 장면

하루를 일년처럼 2006. 10. 10. 11:53

TV팟 바로가기
지하 핵실험동영상
출처 : 밀리터리
글쓴이 : 클렌베리 원글보기
메모 :

vja

핵실험[核實驗, nuclear weapon test]

 

본문

핵무기 개발을 위해 핵폭발을 실시하는 일.

1945년 7월 16일 미국이 뉴멕시코 주 앨러머고도 사막에서 세계 최초로 원자탄 폭발실험을 실시한 이래, 1983년말까지 약 1,400회의 핵실험이 실시되었다. 1974년 인도가 행한 핵실험은 평화목적 때문인 것으로 발표되었지만, 현단계에서 군사목적의 핵실험과 평화목적의 핵실험을 구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들 핵실험의 목적은 ① 핵폭발 및 핵폭발장치의 물리학적 연구, ② 핵무기의 성능과 개선, ③ 핵무기의 효과 조사, ④ 새로운 핵무기의 유효성 확인, ⑤ 핵무기의 새로운 군사적 사용법의 실험, ⑥ 저장 핵무기의 성능 유지, ⑦ 연구소와 공장의 기술수준과 인원유지, ⑧ 핵무기가 안전보관기준에 알맞은가의 실험, ⑨ 다른 핵무기 보유국에 대한 위협 및 견제, ⑩ 핵무기를 사용하는 전술·전략 사상의 기초확립 및 핵무기 시스템의 개발이라고 추정된다.

1950년대초 열핵무기의 개발은 핵실험경쟁을 격화시켰다. 1961년 10월에 소련은 폭발위력이 TNT 화약 58Mt으로 추정되는 핵실험을 실시했다. 이것은 이제까지 행해진 실험 중 가장 최대 규모의 폭발이었다. 또 핵실험에 의한 방사성 강화물의 전지구적 오염이 뚜렷해지면서 핵실험방지 논의가 전세계에 강하게 대두되었다. 1954년 10월 인도의 네루 총리가 국제연합(UN) 정치위원회에서 핵실험 휴지협정을 호소한 이래, 이 문제는 UN의 의제 가운데서도 중요한 검토대상이 되었다. 1968년 미국·영국·소련 3국이 '부분적 핵실험 정지조약'에 조인해 대기권내·우주공간·수중에서의 핵실험이 금지되었다. 그러나 지하핵실험만은 허용되어 이후 핵실험의 대부분은 지하에서 행해지게 되었다. 부분적 핵실험 정지조약은 대기권 내의 방사능을 없애는 것에 도움이 되긴 했지만, 핵무기의 개발 또는 핵실험의 횟수·위력에 대해서는 제한효과가 전혀 없었다. 이 조약의 조인이 있기까지 세계에서 488회의 핵실험이 실시되었다. 연평균 실험횟수는 약 27회였다. 조약 조인 후 1983년까지 935회의 핵실험이 실시되었으며, 연평균 횟수는 약 47회로 증가했다. 또 지하에서는 대규모의 핵실험은 실시되지 않았다고 할 수 있지만 실험굴을 뚫는 기술의 진보 등에 따라 미국에서는 앰치트커 섬에서 1969년 10월에 1.5Mt, 1971년 11월에는 5Mt의 지하 핵실험을 실시했다.

1954년 3월 1일 미국이 비키니 환초에서 실시했던 수소폭탄실험에서는 폭발지점에서 150㎞ 떨어진 곳에서 조업하던 선원들이 방사능 장애를 일으키는 결과가 발생했다. 또 반복되는 핵실험으로 방사성 물질이 성층권까지 올라가 전세계에 위험을 초래하는 것이 밝혀졌다. 1956년 UN은 '방사선 영향 과학위원회'를 설치하고 이 문제의 검토를 계속했다. 이 위원회가 1977년 UN 총회에 제출한 보고서에 의하면, 76년까지 행해진 모든 핵실험에 의해 약 145Mt 위력의 방사성 물질이 지구 전체에 확산되었다고 추정된다. 이에 따라 세계의 주민이 받아들인 방사선량은 약 120mrd(밀리래드, 1mrd=10-5그레이)로 평가되었다. 또 1980년 9월 발트하임 UN 사무총장이 제출한 〈핵무기의 포괄적 연구〉라는 보고서에서는 과거의 모든 대기권내 핵실험은 전세계에서 약 150만 명의 죽음을 앞당긴 것으로 추정되며, 그중 90%는 북반구에서 일어난 것이라고 술회했다. 부분적 핵실험 정지조약이 체결되었을 때, 이것을 전면적인 것으로 할 수 없었던 이유는 핵실험의 검증, 특히 현지사찰의 세부에 대해서 합의가 도출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1965년 18개국 군축위원회에서 스웨덴은 지하핵폭발탐지를 위한 '국제핵실험탐지 그룹'을 제안하고, 그후에도 전문가가 참가한 비공식회의 등에서 지진학적 방법 등에 의한 탐지 기술을 개발하는 등 실질적인 노력을 계속해왔다. 1977년 7월부터 미국·영국·소련 3국은 포괄적인 핵실험 금지협정의 3국간 교섭을 시작했지만, 1982년 6월의 UN 군축특별총회에 그 조약문은 보고되지 않았다. 오늘날 전세계는 무분별한 핵실험이 머지 않은 장래에 인류와 지구 전체에 치명적인 손상을 가져오리라는 것에 인식을 같이하고 있다. 그에 따라 상호간 견제의 목소리가 높지만, 강대국의 핵실험을 봉쇄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지 않은 채 아직도 핵무기 보유국에서는 필요에 따라 핵실험이 자행되고 있다.

핵실험[核實驗, nuclear weapon test]

 

제목 :  핵실험
출처 :  Encyclopaedia Britannica, Inc.
설명 :  태평양 도서군에서 실시된 핵실험 현황
관련항목 :  태평양 도서군핵실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