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에서만 볼수있는 특별한식물들
그리고 아래는 퍼온 자료인데 울릉도라는 특수 환경으로 개체수가 적습니다.
울릉도는 섬이라는 특별한 환경 때문에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식물들이 많이 자생하고 있다 그 중에는 한국의 특산식물로 지정되어있는 식물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희귀식물이 많아서 보존 가치는 물론 우리나라의 환경 재산으로도 부족함이 없는 귀한 자산인 것이다
1. 울릉국화 : 광해국, 섬들국화 등으로 불리는 국화과의 다년생 초본이다. 한국 특산식물로 지정되어있으며 [천연기념물 제 52호]로 지정되어 있다.
2. 섬노루귀 : 왕노루귀, 큰노루귀 등으로 불리기도 하는 미나리아제비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이며 유독성 식물이다.
3. 흰섬초롱꽃 : 섬 초롱꽃으로도 불리는 도라지과의 다년생 초본이다. 한국 특산식물로 지정되어 있다.
4. 섬말나리꽃 : 합상백합, 섬나리 등으로도 불리는 백합과의 다년생 초본이다. 한국 특산식물로 지정되어 있다
5. 일엽아재비 : 목연금, 사자란, 다시마고사리 등으로 불리기도 하는 일엽아재비과의 상록성 다년생 초본이다.
6. 너도밤나무 : 도밤나무, 너도밤 등으로도 불리는 밤나무과의 낙엽 교목이다. [천연기념물 제189호및 50호]로 지정되어 있다.
7. 큰졸방제비꽃 : 왕졸방나물로도 불리는 제비꽃과의 다년생 초본이다.
8. 섬나무딸기 : 죽도목매, 섬산딸기 등으로도 불리우는 장미과의 낙엽아관목이다
9. 헐떡이풀 : 황수지, 천식약풀 등으로도 불리는 범의귀과의 다년생 초본이다
10. 개종용 : 산더부살이, 개더부살이등으로도 불리는 영당과의 다년생 초본이다
11. 말오줌나무 : 수접골목, 울릉말오줌대 울릉딱총나무 등으로도 불리는 인동과의 낙엽 관목이다. 한국 특산식물로 지정되어 있다.
12. 섬개야광나무 : 조선개야광나무, 섬야광나무로도 불리는 장미과의 낙엽관목이다.
13. 섬바디 : 탑극당귀로도 불리는 미나리과의 다년생 초본이다. 한국 특산식물로 지정되어 있다.
14. 섬쥐똥나무 : 죽도사수로도 불리우는 물푸레나무과의 낙엽관목이다. 한국특산 식물로 지정되어 있다.
15. 둥근잎 섬쥐똥나무 : 물푸레 나무과의 낙엽 관목이다. 한국 특산식물로 지정되어 있다.
16. 섬자리공 : 조선상륙, 섬장녹으로도 불리는 자리공과의 다년생 초본이며 독초이다.
17. 왕호장 : 왕싱아, 개호장으로도 불리는 여귀과의 다년생 초본이다.
18. 섬초롱꽃 : 섬초롱, 모시나물로도 불리는 도라지과의 다년생 초본이다. 한국 특산식물로 지정되어 있다.
19. 울릉미역취 : 대화일지황화, 큰미역취로도 불리는 국화과의 다년생 초본이다. 한국 특산식물로 지정되어 있다.
20. 미색 물봉선 : 창백화수금봉, 담화물봉숭아 등으로도 불리는 1년생 초본이다.
21. 섬조릿대 : 도생약죽, 섬대 등으로도 불리는 화본과의 5~6년생의 목본성 식물이다.
22. 섬기린초 : 탑극 서경천, 울릉기린초 등으로도 불리는 돌나물과의 다년생 초본이다.
'*동식물 어류 새·기타 > 어류 새 식물 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심장이 없는 동물 `창고기` (0) | 2008.01.03 |
---|---|
심장이 없는 무척추동물 (0) | 2008.01.03 |
금강국수나무 (0) | 2007.12.12 |
백양더부살이 (0) | 2007.12.04 |
[스크랩] 백양더부살이 (0) | 2007.12.04 |